소개
시중 서비스들은 주로 정형화된 관광 목적의 산책로 정보를 제공하기 서울시 거주자들이 원하는 산책을 하기 위해 도움을 받기는 힘들어 보인다. 또한,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기에 기존의 서비스 사용자들은 자신이 소개하고 싶은 산책로를 타인에게 공유할 수 없다. 따라서 본 프로젝트를 통해 직접 만든 산책로를 공유하고 사용자들 간의 소통이 가능하며, 충분한 산책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산책로 공유 앱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한다.
팀내 역할
Front-End 2명, Back-End 2명, AI 1명으로 총 5명의 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저는 여기서 전체 팀장 역할을 하며 개발일정을 조율하고, Back-End 개발팀장의 역할로 DB설계, 서버 API 개발 및 서버배포, AI연동 역할을 맡았습니다. 개발한 API와 서버 배포는 아래와 같습니다. [API] Oauth2 소셜 로그인, 이미지 Upload/Download, (개인/공개)산책로/프로필 CRUD, Follow/Like System, 정기구독 System Badge Event Handling, Error Handling, Query 최적화 [Sever] Nginx를 통한 리버스 프록시 서버 구성, Docker를 이용한 Spring Boot Server/AI Server 분리, Docker Network를 통한 패킷 손실 최소화, Google Domain/SSL인증서 적용
DB 구조
DB는 사용자와 공개산책로를 두 주축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서버 전체/세부 구조
•
전체 구조
내가 만든 산책로, 내만산
팀장
백앤드
인프라
AI
소개
•
Design Thinking
“어떻게 하면 일기를 더 재밌게 작성하고, 지나온 추억을 더 즐겁게 회상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까?”라는 생각에서 나온 서비스
•
문제정의
일기를 다시 볼 때, 어떤 날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찾기 불편한 점 일기를 직접적으로 공유하는 것에 부담을 느낄 수 있다는 점 전형적인 일기 작성 방식이 지루한 방식 → 새로운 일기 작성 방식을 제시할 필요성
•
Persona(20대 여성)
원하는 날짜의 일기를 빠르게 찾아보고 친구들에게 나의 이야기를 은유적으로 공유하고 싶어하는 니즈
•
아이디어
일기를 작성하면 AI가 그에 맞는 그림을 그려주고 이를 사용자가 확인하여 저장하고 SNS 공유 기능을 가지고 있다.
팀내 역할
Front-End 1명, Back-End 2명, AI 1명, 디자이너 1명으로 총 5명의 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저는 Back-End 개발 및 인프라의 역할로 서버 API 개발 및 서버 배포, AI연동 역할을 맡았습니다. 개발한 API와 서버 배포는 아래와 같습니다. [API] 이미지 Making/Download, Diary Search System, Query 최적화 [Sever] Nginx를 통한 리버스 프록시 서버 구성, Docker를 이용한 Spring Boot Server/AI Server 분리, Docker Network를 통한 패킷 손실 최소화, Google Domain/SSL인증서 적용
DB 구조
DB는 3일 동안 실질적인 PM을 뽑아내는 것을 목표로 잡았기에 추가로 생길 예정입니다.
서버 전체
그림일기, Emodiary
백앤드
인프라
소개
한국의 많은 약품에 대해서 여러약이 겹치는 것을 모르고 소비자는 복용하게 된다. 이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서비스이다.
팀내 역할
Front-End 2명, Back-End 3명으로 총 5명의 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처음 접하는 Front-End로 Android 개발을 진행하였으나, 창업 및 대회 일정으로 인해 Flutter로 전환 후 개발하였습니다. 또한, 후반부에서는 Back-End로써 전체적인 API 수정 및 OCR Server 개발을 진행하였습니다. [API] Oauth2 소셜 로그인, 이미지 Upload/Download, 기본적인 CRUD API 작성 Naver OCR을 사용한 전처리, 후처리 데이터 처리(약 봉투를 OCR로 복용중인 약품 추출 - 정규식 사용) [Sever] Nginx를 통한 리버스 프록시 서버 구성, Docker를 이용한 Spring Boot Server/OCR Server 분리, Docker Network를 통한 패킷 손실 최소화, Google Domain/SSL인증서 적용, CI/CD 적용
알약 복약 관리 플랫폼, Yakal
프론트앤드
백앤드
인프라
소개
요즘 현대인의 수면 패턴은 각각 재각각이다. 사람들의 수면 패턴을 일관적으로 관리하고 자신의 상태를 알아볼 수 있게 하며 AI 및 그래프로 시각화 분석을 제공한다.
팀내 역할
Front-End 2명, Back-End 2명으로 총 4명의 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람들이 사용해야하는 어플로서 수면이 데이터가 연결되면 양면성을 띄게 될까봐 모두 Flutter를 개발했으며, Back-End는 Front-End 단에서 내부 SQLite3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였다. 또한, 애플의 건강앱과 연동하여 데이터를 들고온다. AI의 경우 핸드폰 내부에서 돌리기는 무리가 있어 Django를 이용하여 Analysis Server를 구현하였다. [Design] 전반적인 디자인 시스템 도입, 머터리얼3에 기반한 UI/UX 계획 [Flutter] 통계 페이지 퍼플리싱 및 내부 Database 작성 [Server] Nginx를 통한 리버스 프록시 서버 구성, Google Domain/SSL인증서 적용
수면 관리 플랫폼, Nigtary
프론트앤드
인프라
What is E&I?
Earth&I (E&I)
is a platform that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eople being aware of climate change, but not actually taking action to reduce their carbon emissions
.
E&I leverages the value of
interaction
to
make people realize that taking action on climate change is not only for the planet, but also for their own health and lives
.
With this unique approach,
we aim to change people's perceptions and behaviors, creating a sustainable cycle and culture that positively impacts climate change action.
Solution Overview
Target UN-SDGs
UI Screen
탄소 줄이기 플랫폼, E&I
프론트앤드
백앤드
인프라